본문 바로가기

영화드라마/드라마

조명가게 드라마 귀신 리뷰 및 웹툰 결말 해석

반응형

 

 

 

파랑입니다 

 

오늘은 조명가게 드라마를 너무 재미있게 봤기에 여러분께 리뷰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호불호가 갈릴 수는 있으나 귀신 장르에서 공포와 스릴감이 매우컸던 점이 중독성과 흥미가 있어서 5화까지 정말 순식간에 봅니다. 하루만에 다 볼 수 있네요.. 

 

1화만 조금 넘기시면 2화부터 점점 재밌어집니다. 

 

 

 

 

장르는 미스터리, 스릴러, 공포 입니다. 

 

디즈니+에서 볼 수 있습니다, 2024년 12월 4일부터 공개되었고, 8부작 작품입니다. 

 

강풀의 웹툰 조명가게 원작으로 합니다. 감독은 김희원이구요. 

 

삶과 죽음의 경계를 다룬 신비한 공간 조명가게를 배경으로 인간 군상 이야기를 풀어냅니다. 

 

 

 

 

 

캐릭터를 소개해보겠습니다. 

 

원영(주지훈) : 가게 주인, 삶과 죽음 경계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며, 선택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권영지(박보영) : 간호사, 귀신 볼 수 있는 능력을 지님, 치유와 희망을 전달함. 

 

 

이지영(김설현) : 버스 정류장 앉아있는 여성 , 과거 연인인 현민과 얽혀있음. 정체는 드라마 반전 포인트 이어짐. 사랑과 상실의 이야기전달. 

 

 

 

 

김현민(엄태구) : 이지영과 얽힘 , 사랑과 후회에 대한 메세지 전달. 

 

 

정유희(이정은) : 딸에게 전구 심부름 시키는 어머니, 가족사와 책임감에 따른 이야기 전달. 

 

 

 

 

 

 

- 조명가게 드라마 귀신 역할

 

단순히 공포를 존재하는 존재가 아닙니다. 삶과 죽음, 후회와 미련 등의 인간적 감정을 상징하죠.. 

 

대부분 여기에 나오는 귀신들은 이승에 미련이 남아있고 저승으로 못간 망자들이죠. 

 

각기 사연과 한이 담겨져 있죠. 

 

귀신들은 억울한 죽음, 후회, 사랑, 상실 등 인간의 복잡한 감정을 나타냅니다. 인간의 내면 약점이나 미련의 장치로 활용되고 있죠. 

 

 

 

 

특히,, 간호사 박보영(권영지)가 귀신을 볼 수 있는 능력을 통해서 사연을 이해하고 돕는 역할을 합니다.. 

 

조명가게 주인인 원형(주지훈)이 저승으로 인도하거나 삶으로 돌려보내는 선택을 하죠. 

 

철학적 메세지를 전달하고 있어 강렬한 여운을 남게 됩니다. 

 

 

 

 

 

- 웹툰 조명가게 결말 

 

원작의 웹툰에서는 여러 인물들이 하나로 묶입니다. 삶과 죽음 경계에서 선택의 중요성이 뚜렷해지죠. 

 

웹툰의 핵심 사건은 트럭 운전사의 부주의와 버스기사의 졸음운전으로 교통사고가 다뤄집니다. 

 

이 사고로 죽은자, 중환자실에 있는자, 절망감으로 자살한 자. 등장하죠. 

 

중학생 소녀와 남자, 버스정류장 남자는 살아남습니다. 삶을 애쓰며 살아가죠. 사람이 왜 살아야 하는지 메세지를 전달하고 있구요. 

 

 

 

 

특히나 조명가게에서 전구를 받아가는 것은 생의 길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구를 깨뜨리거나 받지 않는 것은 죽음을 선택한다고 보면됩니다. 

 

 

 

 

 

- 드라마 조명가게 해석 

 

삶과 죽음의 경계에 있는 사람들의 찾아오는 곳입니다. 전구를 밝히면 이승으로 돌아가게 되고, 깨뜨리면 저승으로 가게 됩니다. 

 

현대 사회에서 고독과 소외감을 조명가게라는 공간을 통해 표현하고 있으며, 손님들이 사연을 나누고 아픔을 이해하는 과정을 그리죠. 인간의 본질과 삶의 의미를 돌아볼 수 있습니다. 

 

웹툰과 다른 점은 인물 내면 심리를 깊이 있게 탐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캐릭터 배경 동기를 드러내고 있죠. 

 

 

 

<예고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