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붙잡으면안되는이유

(3)
이별 후 재회, 붙잡으면 안되는 이유 이별 후에는 두가지 성향으로 나뉩니다.  1. 마음이 떠나가기 전 무조건 잡아서 설득해야된다 (70-80%)  2. 헤어지고 나도 생각 시간 필요하고 섣불리 연락하긴 싫다. (20-30%)  1번이 참 많은 편이죠. 주로 애착성향 중 의존형이나 불안형에 가까운 분들일겁니다. 또는 연애를 늘 잡아서 또는 매달려서만 하면서 을의 연애를 체험을 많이 했던 분들에게 나타나는 편입니다.그런 분들은 주로 잘해줘야만 상대가 다가올거라고 생각하죠.  2번은 자존심이 매우 세거나, 회피형 애착성향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로 자기자신을 먼저 지키려는 힘이 있으며, 이타심 보단 이기심이 발동되며, 연애에서 늘 상대방들이 잡아주거나 먼저 다가오면서 대해줬던 경우들에 해당됩니다.   여러분들은 어느 쪽에 더 해당되시나..
헤어진 연인 재결합, 붙잡거나 사과하면 안되는이유 https://www.youtube.com/@%EC%83%81%ED%95%98     여러분들 중 자주 나오는 말들이 있습니다.  "제가 남자친구(or 여자친구)에게 힘들게 했는데 미안하다고 해야할거 같아요. 진심어리게 마음을 전달하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쌤 말 들어보니 제가 너무 이기적이였던거 같아요. 상대에게 진심으로 미안하다 하고 싶어요" "제 잘못이라서 무조건 붙잡고 싶습니다. 꼭 도와주세요"  이러한 태도 너무 칭찬드리고 싶습니다. 다만, 헤어진 연인 재결합을 위한 행동이라면 조심해봐야 될 부분입니다.   우선 먼저 왜 이렇게 말이 나오게 되는걸까요?  1) 이별로 인한 충격 커서 뇌에서는 편향적 오류가 발생함. (불안해서 불안도를 낮추기 위해 잡아라고 명령) 2) 상대가 너무 단호하게 나가..
헤어지고 재회 할 때 매달리면 안되는 이유 파랑도리입니다.  헤어지고나서 상대를 붙잡는 행동은 너무 자연스러운 심리 중 하나죠.  사랑하는 사람이 떠나간다고 하는데 그걸 보고 잡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연애 경험이 상당히 많거나, 자존심이 세거나, 나도 많이 힘들다면 안잡습니다..)  또한, 연애 과정 중에 잡아서 몇 번이나 설득이 된 경우라면 거의 마지막에도 잡겠죠..  하지만, 1가지 확실한 건 '확정이별' 일 땐 매달리면 붙잡으면 멀어집니다...  특히나 내가 많이 잡아서 이어 온 관계 자체는 이미 불균형된 관계입니다. 우리 관계라는 것은 균형잡혀야 안정적으로 흘러갈 수 있습니다.  가끔 보면, "내가 놓으면 끝나는 관계"라고 생각하는 경우들도 있을겁니다. 이 경우는 99% 지금 관계가 불균형이라는 것이죠. 균형잡..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