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파랑입니다.
일렉트릭 스테이트 영화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최근 넷플릭스에서 공개되었죠. 뭐 부진이라는 말도 있는데, 평점은 나쁘지는 않습니다.
호불호가 갈리는 것으로 보여지고, 저도 생각했던 만큼 좋다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별로라고 말하기도 어렵습니다. 어정쩡한 포지션이 아닐까 싶은데요, 저는 평범하고 무난하게 봤습니다.
공상과학 SF 영화가 나와주면 항상 감사하죠..
편안하게 본다면 충분히 보셔도 될거 같고, 막 영화를 통해서 큰 뜻이나 또는 액션 및 스릴감 신비로움 등을 보려면 생각해보면 될 것 같습니다.
3억2천만 달러가 역대급 제작비가 투입되었습니다. 2025년 3월 14일 넷플릭스를 통해서 전세계 공개했습니다.
일렉트릭 스테이트 영화 이고, 루소 형제 - 앤서니 루소, 조 루소가 연출했습니다.
시몬 스톨렌하그 동명 그래픽 노블을 원작으로 합니다.
주요한 포인트가 기술과 인간의 갈등을 보여주고 있고, 미셀과 동생을 향한 희생적 사랑이 감동적 축으로 작용하고 있죠.
기술 독점 기업의 폐해와 인간성 상실로 경고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 일렉트릭 스테이트 영화 정보
장르 : SF, 어드벤처
러닝타임 : 2시간 8분
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
출연진 :
밀리 바비 브라운 - 주인공 미셀 역 (고아 소녀) ,
크리스 프랫 - 밀수업자 키츠역,
키 호이콴 - 애머스트 박사역(뉴로캐스터 개발과학자) ,
스탠리 투치 - 이선 스케이트 역
줄거리 :
1990년대 미국 배경으로 인간과 로봇의 전쟁 이후 황폐해진 디스토피아 사회를 그리고 있습니다. 로봇들이 자유의지를 얻어서 반란을 일으키고 뉴로캐스터 기술로 로봇을 조종해서 승리하죠.
전쟁 후인 로봇이 추방 구역인 '일렉트릭 스테이트'에 격리되며 인간은 현실에 의존하는 사회가 되죠.
주인공 미셀은 실종된 남동생을 쫓아 노란 로봇 코즈모와 함께 여정을 떠납니다. 밀수업자 키츠와 조력자 험과 함께 뉴로캐스터 회사 음모를 발견하고 뇌가 시스템의 핵심으로 착취당한다를 알게 됩니다.
결말에는 동생 생명 장치를 끄면서 시스템을 파괴시키고 인간과 로봇의 공존을 암시합니다.
레트로퓨처리즘 느낌으로 1990년대 아날로그 감성과 미래적 요소를 조화한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죠.. (저는 개인적으로 사이버펑크 느낌을 좋아합니다..)
로봇 디자인이 매우 귀여워서 감정 이입과 친화적이죠.
연기력이나 시각적, 감동적 서사가 강점으로 꼽히지만 또 어두운 톤이 희석되고 서사가 산만하다라는 평이 있죠.
중간에 크리스 프랫의 자연스러운 유머가 나와서 분위기를 적재적소 해소시킵니다.
- 일렉트릭 스테이트 원작 뜻
스웨덴 예술가 시몬 스톨렌하그 2018년 디스토피아 SF 그래픽 노블입니다. 이 작품은 97년 미국 배경으로 기술이 혼란을 초래한 세계에서 고아 소녀 미셀과 로봇 동반자 스킵이 남동생 찾기 위해 서부 해안으로 여정을 그립니다.
원작은 감동적이고 맬랑꼴리한 이야기와 함께 아름다운 일러로 호평을 받은 작품입니다.
원작에서는 인간 사회를 기술이 어떻게 변화하고 파괴시키는지 탐구합니다. 기술 발전이 인간을 위협할 수 있는 경고를 담았죠.
- 일렉트릭 스테이트 영화 관람평 및 평점
비평가들은 독창성이 부족하고 감정적 깊이가 결여되어있다고 합니다. 로튼 토마토 점수는 낮습니다. 15%입니다. 의미를 전달하지 못했다고 하죠.
관객들은 영화를 높게 점수를 주며, 엔터요소와 가족들과 보기에 적합하다고 합니다. 영화적 시각적 효과가 좋고, 스토리 전개가 흥미롭다고 느낍니다.
특히 주연배우 케미가 좋다, 1990년대 레트로퓨처 분위기가 독특하다 라는 점이 호평이죠..
- 일렉트릭 스테이트 결말 및 해석
주인공 미셀이 동생을 구하기 위해서 sentre 본부로 침입하면서 마무리됩니다.
동생이 뉴로캐스터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다는걸 알고, 동생은 자신의 존재가 회사의 기술 유지에 핵심이라는걸 알죠. 결국 미셀이 동생의 의지를 해방하기 위해 생명 유지 장치를 꺼버리죠.
이로 회사의 네트워크가 중단되고 드론들이 작동멈추고, 체포되죠.
동생의 운명은 신체는 사망하지만, 의식이 코스모 로봇에 남아있을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영화 마지막 장면에 코스모가 다시 일어나며 암시하죠.
이 영화는 미셀이 동생과 다시 연결될 수 있다는 희망을 주며 비극적 결말을 완화시키고 있습니다.
기술은 인간을 현실에 도피하게 만들고, 인간과 로봇 갈등을 심화시키죠. 기술이 인간을 위협할 수 있다는 메세지를 담고 있고, 마지막 메세지는 인간간의 연결과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감정적 연결을 통해 진정한 삶을 사는 것이 더 가치있다 라는 메세지를 주고 있죠.
<예고편>
'영화드라마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패니언 영화 정보 결말 해석 후기, AI의 반전 (1) | 2025.04.04 |
---|---|
영화 계시록 정보 평점 결말 해석 후기 나름 괜찮은데 (1) | 2025.03.30 |
캡틴 아메리카 : 브레이브 뉴월드 정보 배우교체 헐크등장 후기 (0) | 2025.03.18 |
9월 5일 위험한 특종 정보 관람평 리뷰, 실화 영화 허탈하다 (2) | 2025.03.03 |
봉오동전투 영화 유키오 실존인물 정보 1920년 배경 (2) | 2025.02.25 |
더 캐니언 영화 정보 관람평 결말 해석 꿀잼이다 (2) | 2025.02.22 |
영화 크리미널 스쿼드 1 정보 관람평 결말 해석 (1) | 2025.02.18 |
영화 리벤지 정보 평점 관람평 결말 후기 엄청난 몰입감 (1) | 2025.02.11 |